R) 달리기도 못하는 학교 운동장 수두룩

    작성 : 2014-10-04 08:30:50
    광주*전남지역에서 100미터 달리기를 할 수 없는 학교 수가 7백 곳에 이르고 있습니다.

    체육관 같은 실내시설과 주차공간 등에 밀려 학생들이 맘껏 뛸 수 있는 운동장은
    점점 더 좁아지고 있습니다.

    임소영 기자의 보돕니다.



    체육 수업이 한창인 광주의 한 초등학교
    운동장.


    위성에서 내려다본 사진에서 이 운동장은 최대 49미터, 폭은 가장 긴 쪽이 겨우 30미터에 그칩니다. /

    SU/
    스탠드업-임소영
    이 학교의 경우 가로 세로 어느 한 쪽도
    50미터가 채 되지 않습니다.

    광주지역 초,중,고등학교 3백여 곳
    가운데 100m 달리기가 가능한 학교운동장은 72곳, 23%에 불과합니다./


    가장 활발한 체력활동이 필요한 초등학교만 보면 광주의 경우 100미터 미만 규격이 86%, 전남은 58%나 됩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학교에선 50m 달리기를 제자리 멀리뛰기로 대신하는 등
    좁은 실내에서 가능한 체력측정 프로그램을 어쩔 수 없이 도입하고 있습니다.

    싱크-초등생 (변조)
    "기자:달리기는 언제 주로 하지?
    학생:운동회 때 선수 선발할 때요.
    기자:(기록)초 재고 할 땐 안 해?
    학생: 안 해요."

    학교마다 주차장, 급식실 등 부대시설들을 지으면서 운동장은 점점 좁아지고 있고
    정부는 지난 40년에 걸쳐 시설 기준을 계속해서 완화시켜 운동장 축소를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문종민
    광주시교육청 체육복지건강과장
    "결국엔 청소년기 체력 저하, 사회적 비용 커질 것 우려"

    체육시간에도 맘껏 뛰어볼 수 없는
    학교 운동장. 학생들의 체력 저하는 물론 좁은 공간에 맞춘 억지 체육활동으로
    안전사고 위험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