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선행학습 금지 혼란

    작성 : 2013-05-03 00:00:00
    새 정부가 법으로 추진하고 있는
    선행학습 금지에 대해 일선 고등학교들은 현실과 동떨어지는 정책이란 반응입니다.

    구체적인 대안도 없이 선행학습 금지만을
    강조하면서 수능을 6개월여 남겨 둔 고3
    교실의 혼란은 커지고 있습니다.

    안승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광주와 전남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매년 11월 초에 치르는 수능을 기준으로
    1-2학기 전에 교과진도를 마치고 있습니다.

    학교 시험도 8월말에서 9월초에
    2학기 중간고사를/ 10월에 학기말 시험을 치릅니다.

    정부와 광주*전남 시도교육청은
    일선 학교에 교육과정에 맞는 학사운영과 시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광수/전남교육청 장학사
    "학교 학사분야 감사 때 교육과정 내용과
    시험문제 내용이 일치하는 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선 학교들은
    현실을 무시한 탁상행정이라며 지침을
    따르는 학교는 거의 없습니다.

    <스탠드 엎>
    진도를 다 마쳐야만 수능을 치를 수 있는
    현재의 대학입시 제도는 선행학습 금지에
    최대 걸림돌입니다.

    수능 직후부터 각 대학들이 대학별 고사를 치르는 상황에서 수능이후 시험은 학생들의
    부담을 더욱 키우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이경석/목포 문태고 교장
    "수능을 위해서 기말고사도 있고 교육과정도 있는 건데.. 근데 수능을 본 이후에 기말고사라는 것은 게임이 다 끝났는데 다시 달려라"

    교육당국이 공교육 정상화나
    친절한 교과서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없이 선행학습 금지만을 강조하면서
    수능을 6개월여 남겨 둔 고3 교실의 혼란은 커지고 있습니다.

    kbc 안승순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