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국비예산 확보에 총력

    작성 : 2013-04-30 00:00:00
    새 정부 출범이후 첫 편성되는
    내년도 국비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의 치열한 경쟁이 뜨겁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호남 인사 푸대접에 이어
    국비 푸대접까지 재현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어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총력전을 펼
    계획이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아 보입니다.

    보도에 안승순 기잡니다.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서
    현안사업비가 대거 누락됨에 따라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내년도 예산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스탠드 엎>
    새 정부 출범이후 처음 편성되는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에서 밀릴 경우 앞으로 5년간 지역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국비 신청 마감을 한 달 앞두고
    광주시와 전라남도는 국고지원 사업으로 144건과 366건에 각각 3조8천290억 원과
    8조2천603억 원을 확정했습니다.

    CG)광주시의 대선공약과 국정현안사업은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에
    2천5백억 원과 광주 도심하천 생태복원사업
    174억 원 등입니다.

    (CG)전라남도는 광주 송정-목포간
    호남고속철도 건설에 2조천177억 원과
    F1 지원에 165억 원 등입니다.

    <인터뷰>노래영/전라남도 예산담당관
    "50-60건을 집중관리 대상으로 해 가지고
    정부예산에 확정될 때까지 국비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CG)광주시와 전라남도는 또
    2015광주U대회 경기시설 확충에 708억 원과
    여수-고흥 간 연륙연도교에 천5백억원 등을 지역현안사업으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아 보입니다.

    새 정부의 국정추구 방향인 복지와
    경제살리기에 예산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지역의 공약을 얼마나 챙길 수 있을 지는 미지숩니다.

    또 굵직한 사업을 결정짓는 각 부처
    장차관과 실국장에 광주*전남 출신 인사가
    턱없이 부족해 창구가 좁은 상황입니다.

    <전화인터뷰>국비담당 공무원
    "국비라는 것, 현안사업들은 정책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결국 다 장*차관하고 BH(청와대)가 협의해서 하는 것인데..대규모 지역 투자사업들은 어렵다는 얘기죠"

    내년도 국비확보에 지역출신 국회의원 등 정치권과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
    보입니다.

    kbc 안승순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