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33주년 기념행사가 참여단체의 저조로 차질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행사원회가 차별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동별행사에 참여하겠다는 동이 없고
전국단위 단체 공모사업 역시 신청한 곳이 10여 곳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정경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해가 갈수록 시들해져가는 5*18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33주년 기념 행사위는 출범식때 차별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CG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동별 행사를 공모하고, 용산참사 피해자나 쌍용차 해고자 등 국가폭력과 자본 권력에 피해를 당한 이들을 행사에 초청하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17일) 자정에 마감하는 동별행사 공모에 신청한 곳은 단 한 곳도 없고, 전국단위 단체 공모사업 역시 신청한 곳은 10여 곳에 불과합니다.
어쩔 수 없이 행사위원회가 나서 자치구별 행사를 제안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싱크-5*18 33주년 행사위원회 관계자/""(추후)
국가폭력 피해자들을 초청하겠다는 계획도 당사자들의 공감을 얻지 못해 실제로 성사될지 의문입니다.
전화인터뷰-김영정/ 행사위원회 집행위원장/""(추후)
5월까지 보름여가 남았지만 차별화를 위해 추진했던 행사는 어느 것 하나 순조롭지 못한 상황.
관계자들은 올해도 매년 반복하던 행사로 채워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인터뷰-김태현/ 5*18 민주유공자
"졸속 추진돼 시민 관심 못 받아"
5*18의 심각한 왜곡 문제가 대두된 상황에서 치러지는 올 33주년 기념 행사,
올해도 비슷한 행사로 채워지면서
반전의 계기 마련은 커녕 지역에서까지
외면받을까 우려됩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