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일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한 취업률 공개 기준을 앞두고 대학마다 초비상이
걸렸습니다.
취업률이 낮을 경우 학자금대출 제한
대학 등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하고 있는 구조개혁 우선 대상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안승순 기잡니다.
취업률 공개 기준일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학마다 취업률 높이기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스탠드 엎>
무엇보다 낮은 취업률로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에 선정될 경우 신입생 충원 등에 큰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취업률과 재학생 충원율, 전임 확보율 등
4개 지표를 따져 제한 대학이 선정되지만 취업률이 갖는 상징성은 절대적입니다.
더구나 대출제한 대학의 선정 기준이
취업률 51%로 지난해 45%보다 상향 조정돼
대학의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인터뷰>신근수/광주대 인재개발과장
"외부적, 내부적 여건이 변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천명, 2천명이 넘어가는 통계대상을
1년에 5%올린다고 하는 것은 어떻게보면 변칙적 방법을 쓰지 않는한 불가능할 것이다"
취업률은 또 교육역량강화사업이나
정부 재정지원사업 등 각종 평가 지표로
활용됩니다.
지역 대학들은 기업체 발굴과 해외취업
알선 등 백방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영남과
수도권에 비해 산업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현실은 녹록치 않습니다.
<인터뷰>정승환/조선대 취업지원팀장
"동일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저희 조선대
뿐만아니라 이지역 모든 대학 구성원들의 불만이 많습니다"
취업률이 대학 퇴출의 지표가 되면서
대학가는 생존을 위한 취업률 올리기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KBC 안승순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