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도청 주변 난대성 가로수 고사

    작성 : 2013-05-09 00:00:00
    도청이 있는 무안 남악지구의 가로수들이 말라죽거나 시들어 가고 있습니다

    한그루에 수 십만 원이나 하는
    상록수들 인데 잘못된 수종 선택이나
    토양 문제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안승순 기잡니다.









    무안군 삼향면 전남도립도서관앞 도로변의
    난대성 수종인 가시나뭅니다.

    한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푸르러야할 상록수지만 새봄에도 대부분
    앙상한 가지만 남았습니다.

    그나마 달려 있는 몇 안되는 잎도 생기를 잃은 지 오랩니다.

    주변에 심어진 또 다른 난대성 상록수
    먼나무의 사정은 더욱 심각합니다.

    잎이 다 떨어진 것은 물론 말라 죽었거나 말라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미 고사돼 베어내고 다시 심은 나무도
    수 십그룹니다.

    <인터뷰>이이범/무안군 삼향읍
    "아무래도 심어놓은 나무가 죽었기 때문에
    보기가 안 좋죠. 나무가 지금 푸르러야 될
    것인데 앙상한 가지만 남았으니까"

    10m이상 거목으로 클수 있지만 살아남은
    나무들도 수 년째 키가 묘목 그대롭니다.

    <스탠드 엎>
    전남개발공사가 지난 2005년부터 7년간
    남악지구에 심은 가로수는 4천여 그루에
    이릅니다.

    1주당 평균 가격이 먼나무는 41만 원,
    가시나무 23만 원 등으로 모두 15억 원의
    예산이 들어갔습니다.

    난대성 가로수의 고사와 성장부진은
    최근 몇 년간 지속된 잦은 한파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바다를 매립할 당시 나무가 성장하기
    어려운 흙이 사용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조영환/목포대 조경학과 교수
    "나무 심을 생각을 안 하고 매립을 하다 보니까 통기성이나 배수성이 불량한 토양이 대부분입니다. 생장이나 나무의 제대로 된
    모습이 힘들다는 얘기죠"

    전남개발공사가 황량한 도청 주변을
    사철 푸르게 가꾸기 위한 난대성 가로수
    사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c 안승순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