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군이 88억원을 들여 만든
삼별초 공원이 부실 계획에서부터 부실
조성 그리고 부실 운영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전시관에는 삼별초 관련 기록물하나
없고 관광자원화 한다며 인근에
수십억원을 들여 만든 민박촌도
생뚱맞다는 지적입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지난달 진도군 의신면에 문을 연
삼별초공원입니다.
삼별초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주민 소득과 연계한 테마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국비 41억원을 포함해 모두
88억원의 예산을 쏟아 부었습니다.
그런데 수십억짜리 공원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돕니다
전시관은 전시문구와 유물이 일치하지 않고
삼별초 관련 유물이나 문헌도 전혀 비치되지 않았습니다.
진품 유물은 커녕 삼별초와 관련도 없는
고려청자 모조품 몇점만이 자리를 채우고
있습니다.
싱크-진도군 관계자
"유물이 추가로 발견되면 문화재청에서
허락하면 다시 모조품을 만들어서 비치를 해야죠"
주민 소득 사업을 이유로 전시관 바로 옆에는 3동의 민박이 조성돼 있습니다.
역사 전시관인지 민박촌인지 사업의
목적도 뚜렷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한옥으로 지은 전시관과 민박촌의 공사비만 30억원이 소요됐습니다.
공원내 조경사업이나 조형물도 10억원이
넘는 비용을 들였다는데 믿기 어려울
정도로 썰렁합니다.
특히 관련 조례 제정은 커녕 운영 방법도
결정하지 않은채 짓고 보자식 사업으로
추진돼 손님맞이도 못하고 있습니다.
싱크-진도군 관계자
"우선 시범적으로 운영을 해보고 민간위탁을 하려면 사전에 점토해야 할 사항들이 많지 않습니까, 그런 부분들을 신중하게 검토해서"
부지 선정도 문젭니다.
스탠드업-이동근
"삼별초 공원에서 채 1km도 안되는 곳에
조성된 예술촌입니다. 이곳에도 민박과
공원이 만들어져 삼별초 공원과 다를게 없습니다"
예술촌도 민박과 특산품 판매점을 비롯해
공원과 정자 등이 꾸며져 있는데 주말을
제외하고는 이용률이 극히 저조합니다.
싱크-마을 주민
"가정집에다 민박시설을 만들어 주면
더 낫겠어요. 오는 손님들한테 물건도 팔고 (소득도 올리는데) 여기다 해 놓으니까 별로 크게 소득이 없던데"
사업성도 제대로 고려하지 않은
중복 투자에 부실한 조성까지
짓고 보자식 사업으로 주민들의 혈세가
또 줄줄 세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7-09 22:42
금강 상류서 물놀이하다 실종된 4명 모두 심정지
2025-07-09 21:24
'에어컨 실외기' 화재..폭염 속 400여 명 대피
2025-07-09 20:00
폭염경보 속 쓰레기 줍기 공공근로 70대 숨져
2025-07-09 14:57
尹, 피의자 신분으로 법원 출석..묵묵부답 법정행
2025-07-09 14:51
기성용, '성폭행' 의혹 제기 후배 2명에 승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