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배:춧값이 폭락하면서 농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습니다.
해마다 널뛰기를 반:복되는 배춧값을 잡기 위해서는 과:잉 재:배를 막고, 김치공장을 늘리는 등 공:급량 조절이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목포의 한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겨울 배추가 지난해 이맘때의 반토막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엄동설한에 배추를 키운 농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경매사들의 고통도
이루 말할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황진운/목포시농산물도매시장 경매사
"30%이상 떨어져 애로가 크다"
현재 서울에서 거래되는 배추가격은
이상 급등했던 지난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한 해 걸러 널뛰기하고 있습니다.
(c.g.) 2천 8년에 급등했다 다음해 급락했고, 2천 11년에 폭등했다가 올해는 바닥권으로 추락했습니다.
전남도는 가공공장을 지어
배추 수요를 늘리고 공급량을 조절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인터뷰-위삼섭/전남도 원예특작담당
"공급이 많은 탓, 가공으로 돌려"
하지만 올해 해남의 겨울배추 재배 면적은 10%이상 늘었고 가공공장들도 처리 물량에 한계가 있어 어려운 형편입니다.
더구나 작목전환이 더뎌 재배 면적의 조절이 어렵고, 정부의 산지 수매는 시늉만 내고 있어 가격 안정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su// 결국 배추값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량 조절이 관건인데, 현재의 구조상으로는 널뛰기 장세를 잡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
2025-04-29 11:32
명태균 "김건희, 주변인 다 추천..이뤄졌으면 공천 개입"
2025-04-29 11:26
훔친 아우디 번호판 떼고 질주..전과 14범 20대 구속
2025-04-29 11:08
이승기, 장인 추가 기소에 입장 선회 "참담한 심정..처가와 절연"
2025-04-29 11:05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현장 상수도관 파열..536세대 단수
2025-04-29 10:11
청주 흉기 난동 학생 "학교생활 힘들어 꾹꾹 참다 폭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