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보리새우 종자 200만 마리를 주요 서식지인 완도, 신안, 영광, 함평 4개 해역에 방류했습니다.
보리새우는 새우류 가운데 고부가가치 품종입니다.
대형 새우로 분류되는 보리새우는 25cm 이상 성장하며, 지역에 따라 '꽃대하', '오도리'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살이 많고 맛이 좋으며, 조직이 연해 고급 식재료로 인기가 높습니다.
보리새우는 특성상 방류 해역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성장해 다음해 6~8월이면 15cm 이상 크기로 어획돼 어업인 소득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에 방류하는 어린 보리새우는 9월에 확보한 어미 보리새우로부터 알을 받아 부화시킨 후 해양수산과학원 육상수조에서 30여 일간 정성껏 사육 관리한 것으로 전장 1.2~1.5cm입니다.
보리새우 전국 생산량은 2019년 297톤에서 2024년 74톤까지 급감했습니다.
전남지역 생산량 역시 2017년 22톤에서 2024년 13톤으로 지속해서 줄고 있습니다.
이에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줄어드는 보리새우 자원 조성을 위해 2015년부터 10년간 고흥군, 무안군, 신안군, 완도군, 영광군, 강진군, 함평군, 7개 시군에 방류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2억 2,500만 마리를 방류해 자원 조성과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