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복지직 공무원 여전히 고달프다

    작성 : 2014-12-05 20:50:50

    복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난 3년간 해당 직군의 인원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증원된 인력보다도

    복지 업무가 더 크게 늘어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예산도 빠듯한 상태여서

    사회복지 업무가 공무원들의 기피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복지 수요가 많은 곳 중 하나인

    광주시 사직동사무소입니다.



    기초 수급자가 4백 명을 넘어서는 데다

    노인과 장애인, 여성과 아동 보육까지의

    일을 단 2명의 복지직 공무원이 도맡아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오지연/광주시 사직동사무소 복지담당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직동은 그나마 나은 편입니다.



    월산 5동과 백운 2동 등 적지않은 광주시내

    동사무소에는 복지직 공무원이 한 명씩

    배치돼 있습니다.



    이렇다보니 민원상담은 물론 제대로 된

    현장 확인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c.g.)복지직 공무원의 처우 개선을 위해 광주시에는 지난 2천 12년 67명을 시작으로지난 3년간 백 68명의 복지직이

    증원됐습니다.



    정부가 3년간 임금을 지원해 주겠다고

    약속해 뽑았지만 현장 배치는 소수에

    그쳤습니다.



    더욱이 4년차부터는 지자체가 인건비를

    부담해야 하는 탓에 복지직 증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곳도 없습니다.



    전화인터뷰-광주시청 관계자(음성변조)/지자체가 인건부 부담이 생기기 시작할 거 아닙니까. 그렇기 때문에 광주시에서 섣불리 판단할 수 없습니다.



    복지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관련 예산과

    인력은 뒤따르지 못하면서 해당 공무원들의 고달픈 생활이 이어지면서 복지 수급자들의 피해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