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주민과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이 세월호 선체의 빠른 인양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주민들은 침몰된 세월호 침몰 이후 수백 년간 지켜온 삶의 터전을 잃고 있다며 생계를
지켜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세월호가 침몰한 조도 해역은 서남해안의 대표적 어업 전진기집니다.
꽃게와 오징어, 멸치 등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어 목포와 신안 지역 어민들도
앞다퉈 조업을 하는 삶의 터전입니다.
하지만 지난 4월 이후 조도 해역은
조업 중단상태나 다름 없습니다.
어민들의 소득이 반 토막 난 것은 물론이고
죽음의 바다라는 꼬리표 때문에 다른 지역
어민들도 발길을 돌리면서 진도산 수산물의 기피현상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참다못한 주민들이 정부를 향해 인양촉구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수백 년간 삶의 터전을 더 이상 잃을 수
없다며 조속한 인양과 세월호 참사로 인한
주민들의 피해를 외면하지 말라고
호소했습니다.
싱크-임준모/진도군 범군민대책위원회 대표
"
자리를 함께 한 실종자 가족들도 정부의
인양 약속 준수를 또 한 번 촉구했습니다.
수색종료와 범대본 해체의 전제 조건이
인양이었던 만큼 정부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했습니다.
인터뷰-권오복/세월호 실종자 가족
"
정부는 해수부 산하에 실무팀을 꾸려
인양 방법과 비용 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데 이어 다음달 3일 세종정부청사에서
가족들이 참여하는 첫 공식 회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하지만 적게는 5개월에서 많게는 1년 이상
걸리는 기간과 천억 원이 넘는 비용을 두고
인양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탭니다.
사고대책본부의 마지막 회의에서도
이주영 장관은 인양은 국민적 공감대를
고려하고 결정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몫이라며 우회적인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가족들이 참여하는 실무회의도
인양을 전제로 한 논의라기보다 인양을
검토하는 회의라서 정부과 가족 간의
갈등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