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가 조사한 청렴도 조사에서 전남도가 16개 시*도중 14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지요.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부패방지를 위해 도입된 제도가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등 유명무실했습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전남도는
감사기법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감사심의실 운영을
지난해 폐지했습니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자는 취지로
지난 95년 구성됐지만
운영이 제대로 안돼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에섭니다.
전화인터뷰-전남도 관계자(음성변조)/(전문가의)자문이나 조언을 구하려고 설치했는데 운영실적이 없어서 폐지했습니다.
공무원의 금품 요구 등
공직비리를 막기 위해 운영되는
부조리 신고보상금제 역시
지난 2년간 실적이 전무한 상탭니다.
사각지대에서 이루지는
공직 비리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제보가 관건인데,
시민들의 참여가 없어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셈입니다.
시*군 별로 너댓명씩 있는
명예감사관제도
해당 시*군에 대해 감사할 때만
활용되고 있습니다.
전남도가 공직비리 단절을 위해
도입한 제도와 기구가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황입니다.
인터뷰-임흥빈/전남도의원(신안1)
비리 근절 대책이 허술하게 운영되면서
지난해 국민권익위 청렴도 조사에서
전남도는 16개 시도중 14위에 그쳤고,
여수와 완도의 공금 횡령 사건으로
국민적인 지탄을 받았습니다.
올해 새 감사관을 임명한 전남도가
감사의 폭과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등
부패 척결을 강조하고 있어서
어떤 성과를 낼 지 주목됩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랭킹뉴스
2025-07-06 15:17
중국 휴가 떠난 천안 서북구청장 현지서 숨져
2025-07-06 14:39
"위험해요. 얼른 건너세요" 아이들에게 욕설 퍼부은 60대 실형
2025-07-06 14:05
"장난치다가"..인형뽑기 기계 안에 갇힌 20대
2025-07-06 10:17
제약회사 영업사원에 환자 개인정보 넘긴 의사들 벌금형
2025-07-06 09:30
무더위 속 1,200가구 아파트 정전..승강기 멈춰 2명 갇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