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특례 상장사 10곳 중 7곳은 상장 이후 시가총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반 이하로 급감한 곳도 전체의 40%에 달했습니다.
2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2005∼2024년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248곳 중 상장 폐지된 3곳을 제외한 245곳을 대상으로 시총과 실적 등을 조사한 결과, 지난 15일 기준 시총이 상장일 당시보다 감소한 기업은 172곳(70.2%)으로 집계됐습니다.
기술특례 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력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기준을 낮춰주는 제도로 2005년 도입됐습니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무제표상 적자라도 상장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들 기술특례 상장사의 시총 합산 규모는 15일 기준 76조 6,410억 원 수준입니다.
조사 대상 중 시총이 늘어나 기업 가치 제고에 성공한 업체는 73곳(29.8%)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실적 부진으로 시총이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영업손실을 기록한 기술특례 상장사는 208곳(84.9%)으로 집계됐습니다. 상장한 지 10년이 지난 기업 15곳 중에서는 알테오젠, 이수앱지스, 코렌텍 등 3곳을 제외한 12곳(80.0%)이 지난해 영업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 파두는 지난해 950억 원의 영업 적자를 내며 가장 부진했습니다.
시총 규모도 상장 당시 1조 3,263억 원에서 15일 기준 5,669억 원으로 57.3% 쪼그라들었습니다.
상장일 대비 시총이 반토막 난 기업은 94곳(38.4%)으로 집계됐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