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deo Player is loading.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광주 고려인마을로 들어온 피난민은 300여 명에 달합니다.
전쟁의 아픔도 잠시, 어른 아이 모두 낯선 땅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아이들의 학교 생활은 어떨까요?
고우리 기자입니다.
【 기자 】
교실 맨 앞자리에 앉아 수업을 듣는 알비나.
전쟁을 피해 엄마와 이모 손을 잡고 조지아, 독일, 프랑스를 거쳐 한국에 들어왔습니다.
수줍음이 많고 말수가 적지만 반 친구들이 먼저 다가와준 덕분에 벌써 친한 친구도 생겼습니다.
▶ 인터뷰 : 김 알비나
- "우크라이나 학교에서는 반 남자애들은 괴롭혔는데 지금 반 애들은 안 괴롭혀서 좋아요"
알비나의 사촌동생 올렉산드리아는 입학 일주일 만에 한국말이 부쩍 늘었습니다.
하지만 친구들을 사귀기엔 아직 서툴러 고민입니다.
▶ 인터뷰 : 김 올렉산드리아
- "우크라이나어로 해도 애들이 다 알았는데 여기 반 친구들은 알아듣지 못해요. 저는 애들 말 조금은 알아듣는데.."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광주 고려인마을 인근 초등학교에 입학한 피난민은 모두 70여 명.
전쟁이 길어지면서 학교를 찾는 아이들이 늘고 있지만 제도적 지원은 아직 부족합니다.
▶ 인터뷰 : 나옥주 / 광주 월곡초등학교 교장
- "교육도, 한국 사회 적응도 (별도의 사회화 과정 없이) 학교에서 바로 재학생들과 한국 선생님과 해야 하니까 거기서 오는 생활 지도의 문제도 크고요."
낯선 땅에서 희망을 키우고 있는 우크라이나 아이들.
어엿한 우리 사회구성원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지역공동체가 함께 나서야 할 때입니다.
KBC 고우리입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