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결국 학생들만 피해

    작성 : 2012-05-14 00:00:00



    광주시교육청과 사립학교 간의 갈등의
    골이 갈 수록 깊어지고 있습니다.

    광주 교육과 학생들만 피해를 볼 수 밖에
    없어 소통과 양보가 절실하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안승순 기잡니다.

    지난달 초 사립학교 이사장들이 사학의
    자율성 보장과 인사권 인정 등을 교육청에 요구하는 결의문을 전달했습니다.

    이에 앞서 사립학교 교장단도
    고교배정방식 변경과 학습시간 규제 등에 대한 불만을 공개적으로 드러냈습니다.

    행정과 재정적인 규제 등
    칼자루를 쥐고 있는 교육청을 상대로
    반기를 든 것은 이례적인 일입니다.

    사립학교 측은 교육청의 소통 부족이 부른
    결과라고 주장합니다.

    <전화인터뷰>사립학교 관계자
    "무조건 자기들 노선이 아니면은 적으로 간주해 가지고 끝까지 투쟁을 해요. 자율성을 안주잖아요"

    이에대해 광주시교육청은
    일부 사학들의 부정과 비리를 바로잡는
    과정에서 나타난 반발로 보고 모든 것에
    원칙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윤흥현/광주시교육청 대변인
    "시교육청에서 요구하고 있는 것은 공정성과 투명성을 좀 담보하는 그런 인사권을 펼쳐줬으면 하는 바람이죠"

    사상 초유의 사립학교와 교육청 간
    대립이 광주교육과 학생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임동호/광주시의회 교육의원
    "교육청이 뭐 이긴다 사립재단이 이긴다기 보다는 피해는 고스란히 계속해서 우리 학생들이 보는 것이 아닌가"

    최근 실력 광주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청과 사립학교의 소통과
    양보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KBC 안승순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