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가 2025년산 공공비축미 19만 톤을 매입합니다.
전남도의 올해 매입계획량은 일반벼 10만 1천 톤, 친환경 벼 2만 9천 톤, 산물벼 3만 1천 톤, 가루쌀 2만 9천 톤입니다.
이는 전국 매입량 62만 5천 톤의 30.5%로, 전년보다 26.4% 증가한 역대 최고 물량입니다.
연도별 매입량은 2021년 12만 3천 톤, 2022년 15만 3천 톤, 2023년 14만 1천 톤, 2024년 15만 1천 톤입니다.
매입 기간은 산물벼는 11월 30일까지 농가 편의를 위해 미곡종합처리장(RPC)·건조저장시설(DSC) 등 산지유통시설을 통해 매입합니다.
포대벼는 12월 31일까지, 농가로부터 읍면별 지정된 장소에서 직접 매입합니다.
정부양곡 품질 고급화를 위해 매입 대상은 시군별 2개 이내 품종으로 지정하고, 지정 품종 이외 품종으로 공공비축 매입에 참여하는 농가는 5년간 공공비축미 매입대상 농가에서 제외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출하 농가를 대상으로 지자체에서 시료를 채취(전체 매입 대상 농가의 5% 이내 표본추출)하고, 매입 종료 이후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민간 검정기관에서 품종검정(DNA 검사)을 시행합니다.
쌀 생산 조정을 위해 올해부터는 친환경 벼로 신규 전환한 물량은 농가가 희망하는 경우 전량 매입할 계획입니다.
친환경 벼 매입품종은 일반벼와 동일하며 추가로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합니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벼는 회수하거나 일반벼로 전환하며 농가에 대해서는 친환경 인증 취소와 5년간 공공비축 참여 제한 조치가 이뤄지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매입 가격은 수확기인 10월부터 12월까지 전국 평균 산지 쌀값(80kg 기준)을 조곡(40kg)으로 환산한 가격을 적용, 전국 단일가격으로 매입합니다.
매입 직후 중간정산금 4만 원이 지급되며, 최종 정산금은 12월 31일까지 지급될 예정입니다.
전남도는 깨씨무늬병 피해가 농업재해로 인정됨에 따라 피해 벼 농가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중에 저가미가 유통되는 것을 막기 위해 피해벼 농가수요량은 전량 조사해 매입할 계획입니다.
박현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올해 여름 기록적인 이상고온과 잦은 강우로 어렵게 맺은 결실이 헛되지 않도록 매입 품종 확인과 수분관리를 철저히 해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