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60년 자유당 독재정권의 부정선거에
반대했던 3.15의거는 최초의 민주화운동으로 4.19혁명의 도화선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3.15의거의 발원지가 지금까지 알고있던 마산이 아닌 광주라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울방송본부 신익환기잡니다.
유권자를 3인조*9인조로 짝지어 투표장에 보내는 등 자유당의 부정선거가 자행되던
1960년 3월 15일.
마산 시민과 학생들은 항거에 나섰고,
경찰의 무차별 발포 등으로 김주열 학생의 시신이 발견되면서 4.19까지 불길이
번졌습니다.
이처럼 역사의 기록에는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던 3.15의거는 마산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스탠드업-신익환
하지만 최초의 민주화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는 3.15의거가 광주에서 시작됐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호남4.19혁명단체 총연합회와
새정치민주연합 박주선 의원이 공동 주최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3.15 의거에 대한 왜곡된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 했습니다.
인터뷰-박주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참석자들은 마산보다 3시간 앞서 광주에서 일어난 곡 민주주의 장송 데모가 사실상 4.19의 도화선이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유혈시위가 먼저 발생한 곳도 광주였으며,
인원에서도 천 2백여 명에 달했던 광주와는 달리, 마산은 30~40여 명에 그쳐 큰 차이가 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김영용 호남4.19혁명단체총연합회장
앞으로 호남4.19총연합회는 광주3.15의거에 대한 역사적 오류를 바로 잡고, 관련 연구*기록의 발굴*정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힘쓸 계획입니다.
특히 마산에서 정부 주도의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는데 반해, 광주에선 현장 표적
하나 없이 민간 주도의 행사만이 열리고
있는 등 차별을 없애기 위한 관계기관과
정치권의 협조를 촉구할 예정입니다.
kbc 서울방송본부 신익환입니다.
랭킹뉴스
2025-08-18 11:31
돼지 2마리 트럭서 탈출해 활보...밧줄 포획
2025-08-18 11:15
무안 교차로서 승용차·트럭 충돌...1명 사망, 4명 중경상
2025-08-18 10:30
유통기한 1년 지난 젤리 훔쳐 초등생에 나눠준 40대 송치
2025-08-18 08:44
감나무밭 농약하던 80대, 살포기·나무에 끼여 숨져
2025-08-17 15:34
이번엔 패스트푸드점 폭발물 설치 신고...400여 명 대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