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을 에는 추위가 계속되고 있지만
전남 강진의 계곡과 논에서는
꽁꽁 언 얼음을 깨고 민물새우 즉
토하를 잡는 이색 풍경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궁중 진상품으로 쓰였던 토하는
청정 1급수에만 서식하는 친환경 수산물로
소비자들의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동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눈 덮인 계곡, 여기저기 크고작은
웅덩이들이 보입니다.
얼음을 깨고 나뭇잎들을 들추자
손톱만한 민물 새우들이 꿈틀댑니다.
흙과 이끼를 먹고 사는 토하는
청정한 계곡과 논에서 주로 서식하는
민물새우입니다.
스탠드업-이동근
"토하는 농약이 없는 청정 지역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친환경 농업의 대표적
부산물입니다"
가을걷이가 끝난 논에서도 이듬해
2월까지 잡히는데 친환경농업 특구가 많은
강진에서는 생산량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황정숙/강진 토하 생산자
"
젓갈로 가공되는 토하는 특유의 흙 향기와
고소한 맛이 일품입니다.
조선시대엔 궁중 진상품이었습니다
인터뷰-오병암/인천시 검단 3동
"
나는 곳이 한정돼 있어 농한기 고소득
작목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인터뷰-김동신
강진골 토하젓 대표
친환경 농법은 농민들에게 쌀과 토하
두가지 소득을 안겨가져다 줬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5-07-01 09:34
尹, 내란 혐의 특검 2차 조사 불출석..첫 '소환 불응'
2025-07-01 09:25
"다슬기 잡으러 갔다가.." 80대 노인들, 잇따라 숨진 채 발견
2025-07-01 08:57
에어컨 설치 중 열사병에 숨져.."노동당국 면죄부 줬다"
2025-07-01 08:29
현금 수송 차량·주류 운반 차량 '쾅'..맥주 콸콸
2025-07-01 08:21
"교량에 내걸린 시신들"..멕시코 우범지대서 20명 숨진 채 발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