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와 관련해 "삼성전자가 필요하고, SK하이닉스도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황 CEO는 31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미디어 Q&A' 행사에서 "이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모두 뛰어난 기술 역량을 갖고 있다"며 "한 회사(SK하이닉스)는 매우 집중돼 있고, 다른 회사(삼성전자)는 훨씬 더 다양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집중에도 장점이 있고 다양성에도 장점이 있다"며 "우리는 두 회사 모두 성공적으로 협력하고 있고 선택할 필요가 없다. 그들은 '치맥 브라더스'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장기적인 파트너가 돼 HBM4, HBM5, HPM97까지도 함께 개발할 것"이라고도 말했습니다.
황 CEO는 또 "내년 사업 규모가 수천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며 "내년 엔비디아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그들이 최대 역량을 발휘하고 놀라운 정도로 성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내년 양산 예정인 신형 GPU 루빈은 예정대로 생산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황 CEO는 "내년 하반기 루빈을 출시할 것임을 확신한다"며 "실리콘이 확보돼 있고 시스템도 갖춰져 있고 생산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루빈에는 HBM4(6세대)가 최초로 탑재되는데, SK하이닉스뿐 아니라 삼성전자 역시 HBM4를 적기에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날 엔비디아도 정부와 국내 4개 기업(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모두 26만 장의 GPU(블랙웰)를 공급한다는 내용을 발표하면서 우회적으로 삼성전자의 HBM4 납품 사실을 드러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당사의 첫 그래픽카드 NV1에 삼성의 D램을 탑재했던 초기 협업에서 시작해 현재의 HBM3E·HBM4 핵심 공급 협력에 이르기까지 20년 넘게 강력한 동맹 관계가 이어져 왔다"면서 HBM3E(5세대)뿐 아니라 HBM4에서도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핵심 공급 파트너라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황 CEO는 이날 APEC CEO 서밋 무대에서 특별 연설 직후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짧게 회동한 뒤 기자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그는 삼성과의 협력에 대해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로보틱스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모두 만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생산 물량 등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우리는 젯슨(Jetson)이라는 브랜드가 있다"고 짧게만 답했습니다.
젯슨은 엔비디아의 로보틱스 칩으로, 삼성전자가 이 젯슨을 만드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황 CEO는 이번 간담회를 끝으로 1박 2일의 방한 일정을 마쳤습니다.
그는 전용기를 이용해 영국 런던 루턴공항으로 향할 예정입니다.
 
                

 제보
제보
 로그인
로그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