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생식물

    날짜선택
    • 섬·연안 자생식물서 '미녹시딜 수준' 탈모 억제 효능 확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과 전남바이오진흥원이 목포 고하도에서 채집한 섬·연안 자생식물 '가는갯능쟁이'에서 모발 건강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가는갯능쟁이는 바닷가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염생식물로, 최근에는 대기 중 탄소를 저장하는 블루카본 자원으로 주목받아 기후변화 대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인 가는갯능쟁이 추출물이 모발 세포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실험 결과, 가는갯능쟁이 추출물(50~200 μg/m
      2025-10-27
    • 신안군, 제2회 보물섬 함초축제 슬로시티 증도서 개최
      제2회 보물섬 함초축제가 24일부터 25일까지 아시아 최초로 지정된 슬로시티 증도에서 열립니다. 이번 축제는 국내 최대 단일 염전인 태평염전 내 특별무대에서 열립니다. 관람객들은 축제를 즐기면서 드넓은 갯벌과 약 11헥타르 규모의 염생식물 자생지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습니다.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생태 체험형 축제로, 증도만의 특별한 가을 정취를 만끽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보물섬 노래자랑 △색소폰 버스킹과 즐기는 보물섬 스탬프 투어 △가족 단위로 즐길 수 있는 보물찾기
      2025-10-16
    • 호남권생물자원관 염생식물 환경정보 자료집 발간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해안에 분포하는 염생식물과 생육지 환경에 대한 종합정보를 담은 염생식물 환경정보(토양, 기후) 자료집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이번 자료집 출간은 2023년에 발간한 염생식물 자료집에 이어 두 번째 입니다. 이번 염생식물 자료집은 '염생식물 생육환경 연구' 과제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염생식물 36종의 형태와 기재, 생육지 기후(연 기온·강수량) 및 토양 환경(물리·화학적 특성, 15항목), 생육지 사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수록했습니다. 염생식물은 해안가
      2024-12-21
    • 국내 섬 자생 염생식물에서 식물 생장 촉진 미기록 세균 발견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국내 섬에 자생하는 염생식물로부터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새로운 미기록 세균 25종을 발견했습니다. 이번 발견은 염생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기능성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성과입니다. 염생식물과 공생하는 미생물은 식물호르몬 생합성, 환경 스트레스 대응, 병원균 저항 등 식물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2년부터 목원대학교 식품제약학부와 공동으로 갯벌에 서식하는 염생식물 공생 미생물의 다양성과 기능에 대한 연구를
      2024-11-07
    • "노둣길 치우고 염생식물 심자"..어민 삶터 '갯벌 되살리기' 한 목소리
      해양수산부는 19일(화) 서울비즈센터에서 ‘갯벌복원사업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갯벌복원사업은 폐염전, 노둣길 등으로 인해 훼손된 갯벌에 바닷물을 유입시켜 수질을 개선하고 서식 생물을 늘리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2010년부터 추진되어 현재까지 총 15개 사업이 완료되었고, 13개 사업이 추진 중입니다. 특히, 2022년부터는 갈대·칠면초 등 염생식물을 심는 새로운 유형의 시범사업도 도입하여 5개 지자체에서 공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노둣길’은 섬-섬 또는
      2023-12-19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