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더불어]IT로 치매*독거노인 보호 나선다

    작성 : 2015-06-27 20:50:50

    【 앵커멘트 】
    독거 노인과 치매 노인이 늘면서 요즘 노인 고독사나 실종 사건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만큼 소외된 노인들의 사회 안전망이 절실한 상황인데요, 때마침 광주시와 한전이 IT 기술을 활용해 보호에 나설 계획이어서 독거*치매 노인 보호에 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지난해 (cg)광주와 전남에서 발생한 치매노인 실종사고 신고 건수는 각각 298건과 203건.

    집을 나간 치매노인들의 위치 파악이 쉽지 않아 그 실종 신고 숫자는 여전한 상황입니다.

    때마침 광주시와 한전이 손을 잡고 치매와 독거 노인 보호에 나섭니다.

    해결사는 각 주택에 설치된 전력 계량기 안에 부차돼 있는 원격 검침깁니다.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해 세대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한전에 보내는 기술입니다.

    ▶ 스탠딩 : 정지용
    - "su//원격 검침기의 근거리 통신기능을 활용하면 치매노인의 실종사고가 났을 때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검침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치매노인들의 몸에 부착하면 어디에 있는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또 독거노인의 건강 이상 여부도 이 기술을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거동이 불편하면 전력 사용량이 적거나 변화가 없다는 점에 착안해 이럴 경우 사회복지사에게 통보해 현장을 확인하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광주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중 홀로 지내는 노인이 3만 9천 8백 명에 이릅니다.

    ▶ 인터뷰 : 박혜미 / 광주시청 ICT융합 담당
    - "복지서비스의 흠을 보완하고 또 광주시만의 독자적인 공공인프라를 활용한 맞춤형 복지체제 서비스를 마련해 보고자 추진하고 있습니다."

    원격 검침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구축 사업은빠르면 10월쯤 광산구에서 시범사업이 시작되고 연차적으로 넓혀나갈 계획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