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불황 속 지역주택조합 틈새 공략

    작성 : 2013-02-27 00:00:00

    경기 침체와 2 ~ 3년 사이에 급등한


    지역 아파트 가격으로 인해


    새 아파트를 분양받아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텐데요.





    최근 일반 분양가보다


    싼 가격을 무기로 지역주택조합이


    틈새 시장을 파고 들고 있습니다.





    강동일기자의 보돕니다.





    지난달 조합설립 인가를 받고


    2차 조합원 모집에 나선


    광주의 한 지역주택조합.





    광주 상무지구 노른자위 땅에


    3.3㎡ 당 600만원 대의


    분양 가격을 내놨습니다.





    이는 지역주민들이 조합을 설립해


    분양가를 10 ~ 20% 가량 낮춘


    지역주택조합이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인터뷰> 원종국 / 지역주택조합원





    지역주택 조합원이 되려면


    해당지역 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한


    무주택자이거나 전용면적 60㎡ 이하


    1주택 소유자여야만 합니다.





    <인터뷰> 김영호 / 지역주택 조합장








    현재 광주에서 지역주택조합 인가를 받고


    2차 조합원을 모집중인 아파트는 3곳으로


    상무광명메이루즈와 백운동 현대엠코,


    첨단서희스타힐스 등 3곳입니다.





    재건축 재개발 사업의


    지지부진과 경기 침체로 시행사가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해


    금융비용을 끌어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지역주택조합이


    틈새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의 인가는


    건설예정세대의 50% 이상을


    조합원으로 모집하면 가능합니다.





    <스탠딩>


    하지만, 50% 이상이 되었다 하더라도


    부지확보에 차질을 빚을 경우에는


    장기 표류할 위험성도 있습니다.


    케이비씨 강동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