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선

    날짜선택
    • 포르투갈 리스본 전차 탈선...36명 사상·한국인 2명 포함
      포르투갈 수도 리스본에서 발생한 푸니쿨라(비탈길 전차) 탈선 사고로 한국인 2명을 포함해 16명이 숨지고 20명이 다쳤습니다. 포르투갈 검찰청 대변인은 4일 (현지시각)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는 포르투갈인 5명, 한국인 2명, 스위스인 1명이며 나머지 8명의 신원은 확인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주포르투갈 한국 대사관은 "피해를 본 우리 국민에게 영사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외교부와 리스본시는 "부상자 중 한국인 1명이 있다"고 발표했으나, 확인 결과 한국인 사망자가 2명으로 파악됐습니다. 사고는 3일
      2025-09-05
    • 포르투갈 리스본 푸니쿨라 탈선 참사...15명 사망·한국인 1명 부상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대표적 관광 교통수단인 전차 푸니쿨라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해 15명이 숨지고 한국인 1명을 포함한 23명이 다쳤습니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사고는 현지시간 3일 오후 6시쯤 발생했습니다. 언덕을 오르내리던 푸니쿨라가 케이블이 느슨해지며 통제력을 잃고 건물과 충돌하면서 선로 밖으로 이탈한 것입니다. 현장 영상에는 노란색 차량이 옆으로 뒤집히며 잔해와 연기에 휩싸인 모습이 담겼습니다. 사고로 한국인 여성 1명이 다쳐 리스본 상프란시스쿠 자비에르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현재 상태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포
      2025-09-04
    • 지난해 영등포역 무궁화열차 탈선 “분기기 텅레일 손상 때문”
      지난해 11월 경부선 영등포역 구내에서 발생한 한국철도공사의 무궁화열차 궤도이탈사고는 분기기의 텅레일이 부식피로에 의해 선행열차 운행 중 부러진 것이 원인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해 11월 6일 오후 8시 52분경 경부선 영등포역 구내에서 발생한 한국철도공사의 무궁화열차 궤도이탈사고에 대한 조사결과를 10일 발표할 예정입니다. 당시 사고는 해당 열차(편성 7칸, 275명 탑승)는 지난해 11월 6일 오후 8시 52분경 분기기를 약 67km/h의 속도로 통과하던 중, 기관차의 후부차량(6칸)이 선로 왼
      2023-08-10
    • 파키스탄서 열차 탈선으로 30여 명 사상...노후 시설 원인?
      파키스탄에서 열차가 탈선해 최소 30명이 숨지고 수십명이 다쳤습니다. 6일(현지시각) 파키스탄 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18분쯤 파키스탄 남부 신드주(州) 나와브샤 인근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객차 17량 중 8~10량이 탈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열차는 신드주 카라치에서 펀자브주 라왈핀디로 향하던 급행열차입니다. 사고 당시 기차엔 승객 1,000여 명이 타고 있었으며, 사고로 인해 최소 30명이 숨지고 수십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파키스탄 철도부 장관은 "사고 당시 시속 45㎞의 속도로 운행 중
      2023-08-07
    • 경부선 SRT열차 탈선 원인은‘선로변형’
      지난해 7월 경부고속선 상행선 대전조차장역 구내에서 발생한 SRT 고속열차 궤도이탈 사고는 장대레일의 중계레일 부분에 ‘선로변형’ 발생이 주원인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오늘(3일)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고열차는 대전조차장역 구내 선로변형 발생 지점을 약 98km/h의 속도로 통과하던 중, 심한 좌우진동과 충격으로 1호 객차의 차륜이 최초로 궤도 오른쪽으로 이탈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장이 비상제동을 시도했으나 최초 탈선지점으로부터 약 338m 지난 지점에서 최
      2023-04-03
    • [속보] 영등포역에서 무궁화호 탈선..25명 부상
      6일 밤 8시 55분쯤 서울 영등포역 부근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해 승객 25명이 다쳤습니다. 코레일은 밤 8시 15분 용산발 익산행 열차가 영등포역으로 진입하던 중 선로를 이탈했다고 밝혔습니다. 무궁화호에는 승객 275명이 탑승하고 있었는데 이 사고로 25명이 다쳤고 이 가운데 4명은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21명은 귀가한 상태입니다. 이번 무궁화호 탈선 사고로 고속, 일반 열차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었고 지하철 1호선 상하행선 운행이 한때 중단됐습니다. 코레일은 정확한 탈선 원인을 파악 중입니다.
      2022-11-06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