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

    날짜선택
    • "어디까지 오르려고"..국제 금값, 또 최고치 경신
      관세 불확실성과 글로벌 무역 갈등 등으로 대표적 안전자산인 국제 금값이 16일(현지시각) 사상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2시 45분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전장 대비 3.61% 상승한 온스당 3,338.43달러에 거래됐습니다. 금 현물은 이날 한때 온스당 3,350달러선을 찍어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미·중 간 관세 부과 맞대응 기조 탓에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 심리가 이어진 데다 또 다른 안전자산인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며 금값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금 선
      2025-04-17
    • 트럼프, 中 압박위해 미국 상장 중국 기업 퇴출 논의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사용할 무기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간 15일 온라인매체 폴리티코 보도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지난 9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중국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 폐지 가능성과 관련해 "난 모든 게 테이블 위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우군이자 사업가인 케빈 오리어리는 지난 11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상장 폐지가 "중국이 협상 테이블로 오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릭 스
      2025-04-16
    • '무역전쟁' 여파에 유가 급락·금값 고공행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90일 유예로 반등했던 국제유가가 10일(현지시간) 미중 무역갈등 재부각 여파로 하루 만에 다시 급락했습니다. 국제 금값은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종가는 배럴당 60.07달러로 전장보다 2.28달러(3.66%) 하락했습니다. 6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종가는 배럴당 63.33로 전장보다 2.15달러(3.28%)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적용하는 최종 합계 관세율이
      2025-04-11
    • 캐나다·멕시코, 美에 보복관세 '맞불'.."트럼프 결정 정당성 없어"
      캐나다와 멕시코가 자국에 대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25% 관세 부과를 비판하며,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놨습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4일(현지시각) 이날 오타와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00억 캐나다달러(약 30조 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맞불 보복 관세를 즉각 발효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세계무역기구(WTO) 분쟁 해결 메커니즘에 제소하고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 체제를 통해서도 이의제기를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미국의 관세 부과가 지속된다면 21일 후 추가로
      2025-03-05
    • 中 양회 4일 개막.. 미국과 '무역전쟁' 메시지 주목
      중국에서 매년 3월 초 일주일가량 열리는 최대 정치행사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4일 막을 올립니다. 중국 국정자문기구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는 이날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식과 제1차 전체 회의를 개최합니다.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5일 오전 개막과 함께 이번 양회의 하이라이트라 할 리창 국무원 총리의 정부공작보고(업무보고)를 청취합니다. 정부공작보고에는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국방비·물가 등 목표치와 당국이 역점을 둔 발전 전략, 집중 지원 대상
      2025-03-04
    • 중국도 대미 보복관세 부과 개시..무역전쟁 '2라운드'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對)중국 10% 보편 관세 인상에 맞서 10일 0시(베이징 현지시각)부터 보복 관세 부과를 개시했습니다. 앞서 중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대응 부족 등을 이유로 지난 4일 0시(미국 동부 시각)를 기해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하자 즉각 맞대응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부과한다는 내
      2025-02-10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