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태조사·생계지원' 근로정신대법 이번엔 결실을..

    작성 : 2021-08-14 18:43:42

    【 앵커멘트 】
    일제강점기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을 위한 지원법 제정이 다시 추진됩니다.

    지난 20대 국회에서 한 차례 추진됐지만, 상임위에 상정조차 되지 못하고 폐기됐는데요.

    광복 76년이 지나면서 생존자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법 제정이 시급합니다.

    서울방송본부 정의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운신하기 힘든 늙은 몸을 이끌고 집회를 다녔는데도 아직 이렇다 할 소식이 없다"

    "하루빨리 일본의 사과와 배상이 이뤄지길 바란다. 오늘 죽을지 내일 죽을지 모르는 나의 마지막 소원이다"

    근로정신대 피해자인 김성주, 양금덕 할머니의 자서전에 적힌 내용입니다.

    황혼이 된 지금도 피해 할머니들의 시간은 강제로 끌려가 혹독한 노역을 치른 1945년에 멈춰있습니다.

    정부는 역사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내면서도 정작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실태 조사나 법적 지원은 외면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받는 정부 지원금은 의료비 명목으로 지급되는 연간 80만 원이 전부.

    한 달에 6만 7,000원 수준입니다.

    지난 2012년 전국 최초로 광주시가 지원 조례를 만든 이후 전남도와 서울시 등 7곳이 관련 조례를 제정했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국언 / 근로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대표
    - "과연 우리 정부와 한국 사회는 전쟁 피해자들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살피고 있었던가를 되돌아볼 때가 됐다고 봅니다"

    지난 20대 국회에서 좌절됐던 근로정신대 피해자를 위한 지원법 제정이 다시 추진됩니다.

    민주당 윤영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법안에는 피해자에 대한 실태 조사와 생계비 지원, 명예회복과 진상 규명을 위한 기념사업 수행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 인터뷰 : 윤영덕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일본이 아직도 사죄하고 배상하고 있지 않은 이런 상황에서 '우리 국민, 우리가 챙긴다, 지킨다'라고 하는 이런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줬을 때 할머니들에게도 힘이 되고"

    광복 76주년을 맞은 올해,

    여전히 끝나지 않은 싸움을 하고 있는 피해자들을 위한 지원법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치권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kbc 서울방송본부 정의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