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며칠 전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전라남도의 공공구매 실적이 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소식 보도해 드렸는데요.
마을기업이나 협동조합 등 다른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해서는 공공구매 실적도 파악되지 않고 있어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의지가 있는지조차 의심되고 있습니다.
백지훈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전남도는 사회적경제 제품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공공구매 공시제를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공시자료는 사회적경제 기업 중 사회적기업뿐입니다.
마을기업이나 협동조합, 자활기업 등 다른 사회적경제 기업들은 아예 공공구매 현황조차 없습니다.
판로 개척이 어려운 사회적경제 기업들에게 공공구매 참여는 인증이나 다름 없지만, 마을기업이나 협동조합, 자활기업은 그런 기회조차 없다는 얘깁니다.
▶인터뷰:신주환/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장
- ""전라남도나 시군 단위에 납품하는 업체다"라는 것만 가지고 있어도 다른 판로 확보에는 이미 인증 비슷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구요. 신뢰도를 쌓을 수 있기 때문에 공공구매는 확실하게 도움이 됩니다"
사회적경제 지원조례가 지난해 10월에 만들어졌지만, 6개월이 넘도록 운영위원회조차 구성 못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윤시석 / 전남도의회 부의장
- "전남도 조례는 법인데 법을 만들어놓고 현실화시키지 않는다면 굉장히 문제점이 많다라고 생각됩니다 "
지난해 전라남도 본청의 전체 공공구매 금액 중
사회적 기업 제품 비율은 고작 0.6%.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꼴찌에서 세 번쨉니다.
▶ 스탠딩 : 백지훈 기자
- "지금과 같은 사회적경제 지원으로는 민선6기 4년 동안 천 개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만들어 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전남도의 계획은 한낱 꿈일 뿐입니다. kbc 백지훈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