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

    날짜선택
    • 전라남도, 수산물 방사능 조사 2013년부터 식약처 기준에 모두 적합
      전남의 수산물이 안전 기준치를 충족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5일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지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전남에서 생산된 수산물 7,817건의 시료에 대한 방사능 조사를 추진한 결과, 모두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에 적합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2013년부터 현재까지 감마 핵종 4·베타 핵종 1 등 방사능 조사 장비 5대를 설치해 생산단계 수산물 방사능 조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3억 5천만 원을 투입해 노후 장비 1대를 교체, 신속한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 신
      2025-04-25
    • 전남도, 멸종위기 옛날 '참김' 신품종 개발 집중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토종 참김의 신품종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지난 2022년 종자를 확보하고, 지난해엔 종자 배양 기술을 확립했다고 전했습니다. 올해부터 본격적인 신품종 개발을 위한 시험 양식 및 선발육종에 나섰습니다. 오는 2028년까지 양식 대상종으로의 복원 및 신품종 개발이 기대됩니다. 토종 참김은 조선 인조시대 광양군(현 전남 광양시) 태인도에서 최초로 양식된 품종입니다. 인조 임금의 수라상에 진상되면서 참김의 고소하고 바삭한 맛을 인정받았고, 당시 김 씨가 양식을 해
      2025-04-21
    • 전남해양수산과학원, 바다의 날 맞아 어린 물고기 방류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이 바다의 날을 맞아 참조기, 부세 종자와 어린 황어를 방류했습니다. 30일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지난 1996년 제정된 법정 기념일인 바다의 날(5월 31일)을 기념하기 위해, 영광지역 특산 어종인 참조기와 부세 종자 20만 마리를 영광 송이도 해역에 방류했습니다. 최근 어획량이 줄고 있는 참조기와 부세는 비슷한 어종으로 굴비의 원재료로 쓰입니다. 마른 굴비로 가공돼 특히 미식가들로부터 인기가 많은 국민 생선입니다. 이번에 방류하는 참조기·부세 종자는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 영광지원에
      2024-05-30
    • 섬진강 돌아온 연어 크게 늘었다!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최남단 연어 산란장인 섬진강에 10일부터 어미연어가 돌아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섬진강으로 돌아온 연어는 지난해보다 2일 늦었지만 10월 말 현재 235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9마리나 증가했습니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연어 자원 조성과 수생태계 보전을 위해 1998년부터 어린연어를 방류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지난해까지 섬진강으로 5천 653마리가 돌아왔습니다. 올해 돌아온 연어는 3~5년 전에 방류한 어린연어가 북태평양 베링해와 알래스카 연안 등지에서 어미 연어(60~100
      2023-10-31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