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분계선

    날짜선택
    • '귀순 북한군' 쫓던 북한 추격조, 군사분계선 침범했었다
      최근 북한군 1명이 중부전선에서 도보로 귀순할 당시 추격조로 추정되는 북한군 2명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왔다가 우리 군의 경고사격에 되돌아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4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군 1명이 지난 19일 비무장으로 강원도 중부전선 MDL을 넘어와 우리 군에 귀순 의사를 밝힌 후 무장한 북한군 2명이 MDL을 넘어 남측 최전방 소초(GP) 앞 200m까지 접근했습니다. 무장한 북한군은 귀순한 북한군을 잡기 위해 출동한 추격조로 추정됐습니다. 우리 군은 경고 방송 후 절차에 따라 경고 사격을 했고, 이에 추격조로
      2025-10-24
    • 중부전선 군사분계선 넘어온 북한군 1명 귀순
      합동참모본부는 중부전선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와 귀순 의사를 밝힌 북한군 1명의 신병을 확보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합참은 "군은 MDL 일대에서 (해당) 인원을 식별해 추적, 감시했고 정상적인 유도 작전을 실시해 신병을 확보했으며 세부 남하 과정에 대해서는 관계기관에서 조사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당 군인은 이날 오전 MDL 이남 비무장지대(DMZ) 남측 지역에서 발견됐습니다. 우리 군 유도조가 "대한민국 군인이다. 무슨 목적으로 왔느냐"고 묻자, 해당 군인은 귀순 의사를 밝혔고 이에 우리 군은 신병 확보 후 관
      2025-10-19
    • 합참 "군사분계선 넘어온 北 주민 1명 신병확보"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3일 밤 중서부 전선에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오는 북한 민간인 1명의 신병을 확보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합참은 "군은 MDL 일대에서 해당 인원을 식별해 추적·감시했고, 정상적인 유도 작전을 실시해 신병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세부 남하 과정에 대해서는 관계기관에서 조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남성은 3일 새벽 3∼4시쯤 우리 군 감시장비에 처음 포착됐고, 중서부 전선 지역 중 수심 1m 정도의 얕은 하천에서
      2025-07-04
    • 북한군 10여명, 동부전선 MDL 침범..우리 군 경고사격 후 북상
      8일 오후, 북한군 병력 일부가 동부전선 비무장지대(DMZ)를 넘어 군사분계선(MDL)을 침범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우리 군은 즉각 경고 방송과 경고 사격을 실시했고, 침범한 북한군은 북측으로 돌아갔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8일) 오후 5시경, 동부전선 DMZ에서 북한군 10여 명이 MDL을 넘어왔다”며 “우리 군은 경고방송과 함께 경고사격으로 대응했고, 이후 북한군은 북상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우리 군은 북한군의 추가 동향을 면밀히 감시 중이며, 작전 수행 절차에 따라 필
      2025-04-08
    • 북한군 군사분계선 또 침범 '벌써 3번째'..합참 "단순 침범"
      북한군 수십 명이 군사분계선을 진입했다가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 18일에 이어 이틀만이고, 군사분계선을 침범한 것은 이번 달 벌써 3번째입니다. 합참에 따르면 20일 오전 11시쯤 중부전선 비무장지대 안에서 작업 중이던 북한군 수 명이 군사분계선을 침범했습니다. 우리 군은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을 실시했고, 북한군은 바로 북상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지난 9일에도 북한군 20~30명이 군사분계선을 침범했고, 지난 18일에는 북한군 일부가 지뢰를 밟아 사상하기도 했습니다. 합참은 경고사격에 바로 북상한 점에서
      2024-06-21
    • 북한군 또 군사분계선 침범..지뢰폭발로 사상자 다수 발생
      북한군 수십 명이 군사분계선을 진입했다가 다수의 북한군이 지뢰 폭발로 다치거나 숨졌습니다. 합참은 18일 중부전선 비무장지대에서 작업 중이던 북한군 20∼30명이 이날 아침 8시 반쯤 군사분계선을 침범했다가 우리 군의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에 북상했다고 밝혔습니다. 작업 중이던 북한군 다수 인원은 지뢰 폭발로 다치거나 숨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합참은 북한군이 우리 군의 경고사격에 바로 북상했다는 점에서 단순 침범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9일에도 중부전선 비무장지내 내에서 작업 중이던 북한군 수십 명이 군사분계
      2024-06-18
    • "북한군 10여 명, 군사분계선 침범"..이틀 후에 알린 합참
      북한군이 지난 9일 군사분계선을 넘어왔다가 우리 군의 경고 사격에 퇴각한 것으로 11일 알려졌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국방부 출입기자단 공지를 통해 "9일 낮 12시 30분 중부전선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작업하던 북한군 일부가 군사분계선을 단순 침범해 우리 군의 경고방송 및 경고사격 이후 북상했다"며 "우리 군의 경고 사격 후 북한군이 즉각 북상한 것 외에 특이 동향은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공지에 따르면 10명 이상의 북한군이 짧은 시간 동안 50m 이내로 군사분계선을 넘어왔고, 경고사격을 하자 바로 군사분계선 북쪽으
      2024-06-11
    • 북한, 9ㆍ19 군사합의 파기 선언.."군사분계선 무력 전진 배치"
      북한이 23일 9·19 남북군사합의에 구속되지 않겠다며 이 합의에 따라 지상, 해상, 공중에서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정찰위성 3차 발사에 대응한 남측의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 효력 정지에 반발하며 사실상 합의 파기를 선언한 것입니다. 북한 국방성은 이날 성명을 내고 "군사분계선(MDL) 지역에 보다 강력한 무력과 신형군사 장비들을 전진 배치할 것"이라며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습니다. 국방성은 자신들의 정찰위성 발사가 자위권에 해당하는 정당한 주권
      2023-11-23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