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날짜선택
    • 두 쪽난 광화문·여의도..3·1절 메운 탄핵 촉구·반대 목소리
      3·1절을 맞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촉구와 반대 집회가 열린 서울 도심이 두 쪽으로 갈라졌습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낮 1시쯤 전국 곳곳에서 관광버스를 타고 서울 광화문과 여의도 일대에 집결했습니다. 이들은 '탄핵반대 계엄찬성'이 적힌 피켓을 들고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었습니다. 전광훈 목사가 중심이 된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대국본)와 보수성향 기독교단체 세이브코리아는 각각 세종대로와 여의대로 일대에서 집회를 진행했습니다. 낮 2시 반 기준 경찰 비공식 추산 12만 명이 두 집회에 모였습니다.
      2025-03-01
    • 3.1절 맞은 여야 "자유민주주의" vs. "헌법수호 내란종식"
      정치권이 제106주년 3.1절을 맞아 순국선열의 정신을 계승하자면서도 여야간 시각차를 드러냈습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1일 "불의한 침략에 맞서 자주독립을 선언한 선조들의 용기와 헌신이 민주주의가 흔들릴 때마다 되살아났고, 그 숭고한 정신이 4·19에서 5·18로, 6월 항쟁과 촛불 광장으로 이어졌다"며 "3·1운동 정신과 함께 포용과 연대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를 표한다
      2025-03-01
    • 최상목, "3.1운동 가르침은 '통합'..한일협력 필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1절 기념사에서 '통합'을 강조했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1일 오전 숭의여자대학교에서 열린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우리 사회 곳곳에 갈등과 분열의 그늘이 짙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내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을 실천하는 데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3.1운동의 중요한 가르침을 통합의 정신이라고 밝히며 "지금 갈등과 분열을 극복하지 못하면 그동안 피땀 흘려 쌓아온 민주화와 산업화의 기적도 사상누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자유민주주의를
      2025-03-01
    • 여전한 3.1절 폭주족..난폭·음주운전 등 전국 744건 적발
      경찰이 3.1절 폭주족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여 744건을 적발했습니다. 경찰은 3.1절 전날인 어제(28일) 전국적으로 교통경찰과 지역경찰 2,781명과 순찰차 등 장비 1,152대를 투입해 전국적으로 폭주족 특별단속을 벌였습니다. 전체 단속 건수 744건 중 공동위험행위 2건, 난폭운전 2건, 무면허 9건, 음주운전 51건, 불법개조·번호판 가림 등 자동차관리법 위반 68건 등이 적발됐습니다. 하지만 경찰의 적극적인 단속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대규모 폭주가 사전에 차단됐으며,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큰 사고도 발
      2025-03-01
    • "'광주광역시 대의동' 일본식 지명이라고?"
      일제의 사슬에서 벗어난 지 79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우리 삶속에는 일제강점기 36년의 그림자가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일제 억압에 맞서 독립을 외쳤던 3·1운동 기념일을 맞아, 일제가 광주·전남에 남긴 유무형의 아픈 역사의 흔적들을 살펴봅니다. 광주에서 대표적인 일제강점기 시설물로는 광주공원 돌계단과 송정공원 내 신사건물과 충혼탑이 있습니다. 일제는 광주공원에 신사를 짓고 참배객을 위해 돌계단을 설치했는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송정공원 신사는 1922년 신명신사로 최초 건립되었으며, 일본 기
      2024-03-01
    • 3.1절 아파트 베란다에 일장기 내걸어..“나는 일본인”
      3.1절인 오늘(1일) 세종시의 한 아파트 베란다에 일장기가 걸려 누리꾼들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오늘 오전 세종시의 한 아파트 베란다에 일장기가 걸려 있다는 게시글이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 실렸습니다. 해당 아파트 입주민들의 항의 전화가 관리사무소에도 이어졌고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가 일장기가 걸린 세대를 두 차례 방문했지만 거주자를 만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오후 들어 세종시 관계자와 입주민 수십 명이 항의 방문하자 거주자 A씨는 자진해서 일장기를 내렸습니다. A씨는 일장기 게양 이유를 묻는 일부 취재진에
      2023-03-01
    • 104주년 3·1절 기념식 서울 유관순기념관에서 개최
      104주년 3·1절 기념식이 '다시, 대한민국! 새로운 국민의 나라'를 주제로 오늘(1일) 오전,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렸습니다. 지난 3년간 개최된 3·1절 기념식은 코로나19로 인해 소규모로 진행됐으나 올해는 애국지사와 독립유공자 유족, 주한 외교단 등 1,300명이 참석해 대규모로 개최됐습니다. 기념식은 개식선언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주제영상 상영, 독립선언서 낭독, 독립유공자 포상, 기념사, 기념공연, 3·1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됐습니다. 3·1
      2023-03-01
    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