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집중2]고용촉진특별구역 지정 시급(수정)

    작성 : 2013-02-07 00:00:00

    이처럼 조선업의 위기는 가뜩이나 어려운

    전남지역 경제와 근로자들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CG

    조선경기 침체로 전남 서남권의

    체불임금 근로자 수는 해마다 증가세고

    체불임금도 최근 3년 사이 30% 이상 늘어나 백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이에대한 대책의 하나로 지역에서는

    대불산단을 정부가 고용촉진특별구역으로

    지정해줄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DVE <고용촉진특별구역 지정 필요>

    자동차와 조선업 밀집지역인

    평택과 통영의 경우 이미 특별구역 지정을

    받은만큼 지역형평 차원에서도 정부의

    지정은 당연하다는것입니다



    이어서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대불산단 조선 하청업체에 근무하는

    A씨는 애타는 심정으로 고용노동지청을

    찾았습니다.



    석달째 월급이 밀려 가족들의 생계는

    막막해졌고 빚도 산더미처럼 쌓여가기 때문입니다.



    사장을 찾아가 밀린 월급을 사정했지만

    회사가 어려워 기다려달라는 말뿐이였습니다.



    싱크-조선업체 근로자 A씨

    "다음에 준다고 그 다음달 그 다음달에

    준다고 해놓고 누적돼 가지고,

    생활이 아예 안되죠, 월급이 안 나오는데

    대출받고 카드로 생활하고..."





    조선업 비중이 높은 전남 서남권의

    임금 체불 근로자는 3천6백여명으로

    체불임금도 지난 2010년 84억원에서

    2년 사이 30% 이상 증가해 116억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대형 조선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대불산단의 태생적 한계로 조선시장의

    불황은 중소업체들에게 직격탄이 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창의/목포노동고용지청 근로감독관

    "



    조선불황의 장기화로 대불산단의 위기감이

    어느때보다 커지면서 정부 지원의 시급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 중형 조선소가 밀집한

    경남 통영의 경우 조선소 두 곳의 폐업으로

    대량 실직이 발생하자 고용촉진특별구역

    지정이 이뤄졌습니다.





    산업 재난지역으로 간주해 1년간 한시적인

    지원이 이뤄지는 고용촉진특별구역은

    임금과 생계비 지원을 비롯해 고용보험과

    산재보험료 납부기한이 연장되고

    체납된 세금의 행정집행도 연기됩니다.



    지역에서도 대불산단의 고용촉진특별구역

    지정을 요청하고 있지만 사정은 녹록치

    않습니다.



    이직율이나 고용보험 감소율 등이

    지정 기준에 못 미쳐 정부의 기준 완화

    요청과 함께 지역 특성에 맞는 근거 자료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박병훈/전남도 조선산업담당

    "



    고용촉진특별구역 지정이 결정적 해법은

    아니지만 빈사상태에 빠진 지역경제에

    하나의 응급처방임은 분명합니다



    기업의 자구책 마련과 함께

    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의 하나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