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세뱃돈, 언제부터 시작됐나?

    작성 : 2014-01-29 20:50:50

    세뱃돈은 아이들에게는 설렘을, 하지만

    어른들에게는 매번 고민을 안겨주는데요,



    세뱃돈 문화는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정경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인터뷰-서성권/ 광주시 진월동



    가족과 친지를 만나러 가는 사람들의

    반복되는 고민, 세뱃돈은 어느덧 설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오래된 것은

    아닙니다.



    CG

    조선후기 지어진 세시풍요를 보면 아이들이 세배한 뒤에 돈이 아니라 과자나 곶감을

    받았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세뱃돈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일제 강점기였습니다.



    CG1

    국채보상운동이 한창 진행되던 1907년

    대한매일신보에는 9살 아이가 세뱃돈을

    기탁했다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CG2

    1925년에 지어진 해동죽지에도 허리춤이

    묵직해질 만큼 세뱃돈을 받았다는 내용이 등장합니다.//



    인터뷰-이명헌/ 전남 농업박물관 학예연구사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부담이 되자

    이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사진)

    신문에는 아린 아이에게 절값을 주지말라는 기사가 등장할 정도였습니다.



    스탠드업-정경원

    "해방 이후 계속된 경제난으로 세뱃돈 문화는 잠시 주춤했지만, 60년대 말 이후부터 경제 상황이 나아지면서 아이들에게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다시 자리잡았습니다"



    액수도 아이들에게는

    비교적 큰 돈이었습니다.



    인터뷰-박민호/ 순천시 풍덕동



    인터뷰-최구만/ 해남군 황산면



    해마다 반복되는 세뱃돈 고민에

    한 설문조사기업이 30대 이상 남녀 9백명을 대상으로 세뱃돈으로 얼마를 주는 것이

    적당한지를 물었습니다.



    CG3

    초등학생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이 만 원

    내외라고 답했고, 중학생은 2만 원 내외와 3만 원 내외라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고등학생은 5만 원 내외, 3만 원 내외라고 대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습니다.//



    덕담의 의미로 주곤 하던 세뱃돈 문화,



    최근에는 그 의미가 퇴색되면서 책이나

    아이들이 원하는 선물을 사주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세뱃돈을 대신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